2022년 이전 이야기/시장 네러티브

예고편 - 친환경과 석유 그리고 석유기업

손세민 2020. 10. 30. 18:43

오늘 이야길 할 부분은 

사실 이 책이 크게 

석유 그리고 석유기업을 다루기에

석유기업에 대한 부분을 이야기하게 됨

 

친환경이랑 석유는

별개의 이야기로 보이지만

의외로 긴밀함

인베스팅닷컴에 엘랜왈드 누나의 

포브스나 미국 싱크탱크에서 리포트를 보면

 

바이든이 친환경을 하더라도

걸림돌이 저유가라는 이야기가 많음

 

쉽게 이야기하면

1. 친환경 정책의 가장 큰 적은 저유가

2. 친환경으로 Fracking을 금지하면 미국 내 생산이 급감

3. 석유기업들이 하는 친환경 사업이 수익이 더 좋음

과 같이 요약이 가능함

그리고 사우디와 러시아도 이를 알기에

유가를 올리는 데 있어서 트럼프가 아닌

바이든에 지지를 하는데

 

바이든이 친중이라 광고하지만

실제로는 친러,친사우디 행보를 보일 거임


트럼프가 원하는 방향은 

사우디 아메리카라 말할 수 있고

 

바이든이 원하는 방향은

유가가 비싸야 조금 덜 쓰지라 말할 수 있음


내 포트폴리오 중 일부 이야기

글에 썼는 지 모르겠는 데 

올해 1월 코로나가 시작될 때 

일본에 있었음

이유는 아람코 채권 때문임 ㅇㅇ

사우디 국부펀드가 RDSa를 샀다는 기사가

4월에 나오자 마자 청산을 했는데

아람코 채권을 가지고 있는 입장에서

왜 사우디가 사는 것을 다 팔았는 지 이야기를 하면

 

아람코 채권에 수익률이 엄청 높고

주식 배당도 엄청쎔

근데 순이익이 안나는 데 매수를 한다?

 

매수 당하는 애들이 뒤로 

현금흐름이 좋았다는 이야기임 ㅇㅇ

 

아람코가 안사면 지금 보다 

더 선방했을 건데

매수의 의도가 매우 불순함

 

그래서 아람코 손타는 회사는 안삼

 

물론 바이든이 되면 

친사우디쪽으로 행보가

정해지면서 아람코가

매수한 회사가 살아날텐데

 

우선 대선 결과를 지켜보아야할 부분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