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매도 중...
오랜만에 암흑투자계의
취지에 맞게
파생상품이야기를 하려함
지난번 중국 정부의
위안화 절하를 바탕으로
모든 이야기가 진행되서
위안화 절하 모르면
아래 글 보고오면됨 ㅇㅇ
kr.investing.com/analysis/article-200435358
무야호~ 그만큼 위안화 절하가 중요한거죠 | Investing.com
Chan Sohn 편집한 외환 분석: USD/CNY, 미국 10년. Chan Sohn 의 Investing.com에 관한 외환 분석을 한번 읽 어보십시오.
kr.investing.com
우선 중국이
지난 08년부터 성장한 것은
사실임 ㅇㅇ
성장률 또한 높았고 ㅇㅇ
근데 그 기반이 뭐냐
돌이켜보면 인구임
사실 트래픽도
인구에 기반하고
사람이 결국 하는 거임
그렇기에 인구가 중요한 거고
대부분 경제학하는 사람들이
장기 경제패턴을 이야기할 때,
인구통계의 영향에 대해서
베이스를 깔고 이야기 많이함
사실 대부분 여기 글이
짧은 프레임도 많고
긴변화를 많이 안다룸
근데 인구분포같은 건
변화프레임도 길어서
사람들에게 쉽게 잊혀짐ㅇㅇ
근데 기술도 기술인데
인구변화, 인구분포를 보면
중국 뿐만아니라 한국도
경제활동에 크게 변하지 않을 까함
일본이 그랬고
한국, 북한, 중국 특징에
'노령화'가 있음 ㅇㅇ
애라도 많이 낳으면 되는데
그런게 아니면
노령화는 가속화됨
이게 결국
GDP에 영향을 주는데,
GDP 계산할 때,
노동생산성과
노동력 증가에 의해
결정됨 ㅇㅇ
대부분 개도국 경제에서
노동력생산성 증가는
시골에서
생산성 높은 도시로
생산연령이 옮길 때
주로 일어남ㅇㅇ
1950년대 일본
1970년대 한국
1980년대 대만
2000년대 중국
이 그랬음 ㅇㅇ
근데 농촌에서 도시로
이주하는 것이
2010년 후 둔화되다가
이게 살살꼬이는 듯함
중국도 한 때
한자녀 정책으로
노동가능인구
점점 줄다가
다시 풀었는데,
우선 노령화와 상관없이
경제성장 하니까
연 10%정도의
실질 GDP 기록할 수 있던거
결국 인구로 인한
성장은 이제 힘듬 ㅇㅇ
근데 이걸 중국 정부가
모르는 것은 아닐텐데...
산업이 성숙화 안되면
장기로 비실거리다 골로 갈거